얼렁뚱땅 우왕좌왕
[네트워크] TCP/IP 4계층 본문
TCP/IP와 OSI 모델의 차이
- TCP/IP는 실제로 인터넷과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이며, 4계층 구조로 설계되어있다.
- OSI 는 7계층으로 구성된 이론적 모델로, 각 계층의 기능을 세분화하여 설명한다.
- TCP/IP는 실용적이고 간소화된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, OSI 모델과 비교하면 여러 계층의 기능을 통합했다.
TCP/IP 4계층
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(Network Interface Layer)
- OSI 모델의 1. 물리계층과 2. 데이터링크 계층에 해당
-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설정.
- 예) 이더넷, Wi-Fi, MAC 주소 등.
- 인터넷 계층 (Internet Layer)
- OSI 모델의 3.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.
-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송하고 경로를 설정하며, IP 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팅
- 프로토콜 : IP(IPv4/IPv6), ICMP, ARP 등.
-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- OSI 모델의 4. 전송 계층에 해당.
- 데이터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. 포트 번호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구분.
- 프로토콜: TCP, UDP
-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- OSI 모델의 5. 세션계층, 6. 표현 계층, 7. 응용 계층을 포함.
-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.
- 프로토콜: HTTP, FTP, SMTP, DNS 등.